신용점수와 나이스, KCB 신용점수 등급 총정리

생활 정보 / / 2023. 6. 23. 10:14

신용점수란?

 

신용점수는 신용평가에서 등급으로 분류되던 것을 1점부터 1000점까지 세분화하여 각 구간별로 구분한 것입니다. 이 신용점수는 개인에게 적용되는 것입니다.

 

 

 

개인신용점수

 

개인신용점수는 신용조회 회사인 CB(Credit Bureau)에서 연체 발생 확률을 통계적으로 분석하여 수치화한 지표입니다. 이 지표는 향후 1년 내에 90일 이상의 장기연체 위험도를 1부터 1000점(또는 1부터 10등급)으로 구분하여 표시합니다.

신용점수가 높을수록 신용등급이 높고 개인의 신용도가 우수함을 의미합니다. 국내에서는 나이스 신용평가사와 KCB 신용평가사가 신용점수를 산정하고 있으며, 각 회사마다 등급별 점수 구간이 다릅니다.

 

 

KCB 신용점수표 및 NICE 신용점수표를 함께 보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.

 

KCB 신용점수표 (올크레딧 신용점수표)

1등급 1000점
2등급 891 ~ 941점
3등급 832 ~ 890점
4등급 768 ~ 831점
5등급 698 ~ 767점
6등급 630 ~ 697점
7등급 530 ~ 629점
8등급 454 ~ 529점
9등급 335 ~ 453점
10등급  0 ~ 334점

 

 

NICE 신용점수표 (마이크레딧 신용점수표)

1등급 900 ~ 1000점
2등급 870 ~ 899점
3등급 840 ~ 869점
4등급 805 ~ 839점
5등급 750 ~ 804점
6등급 665 ~ 749점
7등급 600~ 664점
8등급 515 ~ 599점
9등급 445 ~ 514점
10등급 0 ~ 444점

 

 



결과적으로, 동일한 개인에 대한 신용점수는 나이스를 사용하는 금융기관과 KCB를 사용하는 금융기관 사이에서 차이가 발생할 수 있습니다. 개인의 신용점수를 확인하고자 한다면, 나이스 또는 KCB의 웹사이트에서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
신용점수 구간별 신용등급을 확인하는 것은 4개월마다 1년에 최대 3회까지 무료로 가능하며, 추가 조회를 원하는 경우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신용점수별 특징

 

KCB와 NICE는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평점 구간이 다르지만, 등급별 신용점수에 따라 구분되는 의미는 동일합니다. 이는 두 개의 신용평가사에서 측정한 결과에 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
 

 

📍 1~2등급(최우량)

신용거래 경력 기간 및 횟수가 많으며, 부실화 가능성이 현저히 낮습니다. 이 등급은 신용거래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

📍 3~4등급(우량)

신용거래 실적은 적지만, 꾸준히 우량한 거래를 이어가면 등급이 향상될 수 있으며, 부실화 가능성이 낮습니다. 이 등급은 신용거래에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
📍 5~6등급(일반)

비교적 고금리 금융기관과의 거래 이력이 있으며, 단기연체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. 부실화 가능성은 일반적인 수준으로 판단됩니다. 이 등급은 신용거래에서 일반적인 범주에 속합니다.

📍 7~8등급(주의)

비교적 고금리 금융기관과의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, 단기연체 이력이 많아 부실화 가능성이 높습니다. 이 등급은 신용거래에서 주의가 필요한 상태입니다.

📍 9~10등급(위험)

연체 중이거나 심각한 연체 이력을 가지고 있어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 이 등급은 신용거래에서 상당히 위험한 상태를 나타냅니다.

 

 

 

👉 같이 보면 좋은 정보 확인하기! 

 

 

분양권 양도소득세 총정리

대출금 상환과 신용점수

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조건 및 한도 알아보기